개발자/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코딩테스트를 준비하는 방법 - 플랫폼

naheesu 2025. 2. 11. 17:34

안녕하세요 : )

 

이번에는 제가 다양한 코딩테스트 준비 사이트에서 알고리즘 공부를 꾸준히 해왔던 것을 바탕으로 경험을 공유해드리려고 해요!!

 

저는 23년도부터 24년도 말까지 약 1년 반동안 취준을 위해 코딩테스트 공부를 진행했어요!

 

혼자서 꾸준히 문제를 풀기도 하고, 함께 준비하는 친구들끼리 스터디를 진행하기도 하고, 

운 좋게도 '코드트리'라는 코딩테스트 플랫폼에서 인턴 근무를 함께 하며 알고리즘 문제를 더욱 가까이 접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가장 먼저!

코딩테스트, 어디에서 공부할까?

현재 코딩테스트 사이트만 해도 다양하게 있습니다. 


백준

장점) 입출력 템플릿 익히기, 다양한 문제 보유

 

삼성 코딩테스트, 현대 소프티어 역량 진단 등에서는 코딩테스트에서 입출력을 받아서 처리하는 것까지 모두 구현해야하는 유형이 출제됩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틈틈히 백준에서 문제를 풀었습니다. 

또한 백준의 경우에는 각 유형 별로 아주 많은 문제를 보유하고 있으며, 토론 게시판 등을 통해서 어느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종종 이용했습니다. 

저는 백준에서 삼성 역량 테스트 기출 문제 리스트를 풀면서
삼성 코딩테스트를 대비하는 경우 백준을 사용했습니다! 

그리고 본인이 약한 문제 유형에 대해서 문제를 주구장창 풀고 싶을 때 
알고리즘 분류 페이지에서 해당 유형에 대한 문제들을 골라 풀었습니다. 

프로그래머스

장점) 함수만 구현하면 되기 때문에 구현이 단순, 문제 길라잡이가 잘 되어 있는 느낌

 

저는 주로 프로그래머스에서 알고리즘 역량을 많이 쌓았습니다.

입출력 전체 과정을 매번 문제마다 구현하지 않고, 단순히 해당 함수만 구현하면 문제를 풀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을 짬내어서 코테 공부를 하는 경우에 적합했습니다. 또한 프로그래머스와 기업 코테 문제들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문제가 깔끔하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또한, "알고리즘 고득점 kit"을 통해서 알고리즘 문제의 각 유형을 익히고, 부족한 부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저는 프로그래머스에서
"알고리즘 고득점 kit"을 통해서 코딩테스트의 전체 유형을 파악하고 익힌 후, 
"레벨 2 문제를 정답률 순으로 정렬"하여 레벨 2 문제를 쫙 풀었습니다. 

 

 => 위 방법을 통해서 지금은 웬만한 코딩테스트는 통과하는 실력까지 올라올 수 있었습니다. 


코드트리

장점) 삼성 기출 문제 보유, 입문하는 분들이 배울 수 있는 이론 자료 함께 제공,

 

여기는 실제 삼성 계열 회사들의 코딩테스트 기출 문제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리뉴얼되어서 지금도 제공하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제가 준비하던 때만 해도 많이 풀었었습니다. 

 

또한, 코딩테스트에 입문할 때 각 입출력과 자료구조를 어떻게 구현하는지, 익히기 위한 이론 자료가 문제와 함께 제공됩니다. 

저는 C++에서 파이썬으로, 파이썬에서 자바로.
새로운 언어로 갈아탈 때마다
코드트리에서 빠르게 각 자료구조를 어떤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구현하면 되는지 익히고 실전에 들어갔었습니다.

 

문제에 부딪히면서 배워나가기보다, 선생님이 가르쳐주듯이 보고 배울 수 있는 자료를 함께 보고 싶으신 분들은 코드트리 문제집을 구매하여 준비하는 것이 빠르게 배울 수 있을 것입니다. 


SWEA

장점) 삼성 코테 형식의 문제 대비

저는 SSAFY에서 알고리즘 역량 테스트를 대비하며 SWEA에서 문제를 풀었습니다. 
A형 기출 문제를 풀며, 문제를 익혔었는데
실전 삼성 코테의 경우에도 A형(보통 난이도) 한 문제, B형(어려운 난이도) 한 문제가 나오고, 그 중 한 문제만 풀면 주로 통과하기 때문에
겸사겸사 SWEA에서 A형 난이도의 문제를 꾸준히 풀었습니다. 

 

 

 

이렇게 각 플랫폼의 장점들을 활용해서 각 사이트를 돌아다니며 문제를 풀었습니다.